양산 민주·한국당 '총선 승부수' 차별화
1년 앞두고 상반된 행보
민주, 민생고 해소 적극적
한국, 대정부 투쟁 힘실어
양산지역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주말마다 '차별 행보'에 나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내년 총선을 1년도 채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민주당은 '민생'에, 한국당은 '투쟁'에 더욱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우선 민주당 시·도의원은 4일 지반 침하로 논란이 인 북부동 일대를 찾은 데 이어 11일에는 악취 문제로 고통을 호소하는 북정동 일대에서 현장 의정활동을 진행했다. 이들은 지반 침하 원인으로 추정되는 한 대형 주상복합건물 신축 현장에서 관계자 상황 보고를 듣고 공사 진행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또한,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이 맞닿아 악취 문제 해결을 요구해온 아파트와 인근 산단 조성 현장을 찾기도 했다. 두 곳 모두 한국당 소속 전임 시장 재임 시절 인·허가가 이뤄진 곳으로, 민주당 의원들은 이전 시정에서 안이한 행정 처리로 문제를 일으켰다며 비판하고 있다.
![]() |
▲ 양산 북부동 공사현장을 찾은 더불어민주당 양산지역 시 도의원들. /민주당 양산지역위원회 |
![]() |
▲ 서울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규탄대회에 참석한 자유한국당 양산시위원회 모습. /한국당 양산위원회 |
반면, 한국당 양산지역위원회는 4일 서울, 11일 대구에서 열린 문재인 정부 규탄대회에 잇달아 참석해 중앙당 장외투쟁에 힘을 보탰다. 지난 8일에는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민생 투쟁 대장정' 경남지역 마지막 일정으로 양산을 찾아 당원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이 같은 엇갈린 행보는 총선을 앞두고 두 당이 처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통해 민주당은 문재인 대통령 사저가 있는 양산에서 시장을 배출하고 시의회 과반을 차지했다. 4석인 도의원 역시 3석을 가져가는 등 지역 여당으로 입지를 다졌다. '텃밭'으로 불려왔던 양산을 내준 한국당은 총선 승리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최근 대통령 지지율이 답보 상태에 머무르고 민주당 김일권 시장이 선거법 위반으로 1심에서 당선무효형을 받는 등 정치 상황이 달라지자 한국당은 중앙당 당외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흐트러졌던 당 분위기를 다잡는 계기로 활용하고 있다.
민주당은 김 시장 당선무효형 선고와 송인배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서형수 국회의원 불출마설 등 악재가 이어지면서 총선 전망이 어두워졌다. 신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지지세가 커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양산은 한국당 강세지역이라는 위기의식이 민생 행보를 선택한 배경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상반된 행보에 두 당의 신경전도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한국당을 향해 중앙정치 논리에 지역과 민생은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라며 날을 세웠고, 한국당은 장외 투쟁을 의식해 '보여주기식' 정치 이벤트를 벌이고 있다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
'언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당 경남도당 여성위 역량 강화 워크숍 개최 (0) | 2017.05.30 |
---|---|
더불어민주당 정석자 도당여성위원장 도의원 선거 출사표 (0) | 2017.02.22 |
민주당 경남도당 여성위원회 운영위 '발대식' (0) | 2016.12.09 |
양산 지방선거 출마자들 '아름다운 뒷모습' (0) | 2014.06.10 |
새정치민주연합 양산지역 경남도의원 예비후보 출마 기자회견 (0) | 201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