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8 지방의회 아카데미

정석자 2018. 8. 17. 11:47

 

새벽같이 달려서 대구입니다.

' 2018 지방의회 아카데미'

초선같은 재선으로서 오늘 하루는 열공모~드입니다.

 

1강을 들으며 필기한 내용을 살~짝 공유해봅니다.

 

 

1강 자치분권 시대의 지방의회 역할

 

정순관(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정치제도의 문제와 해결

문제

1. 권력남용의 문제

2. 정치적 정보의 한계

 

해결

민주적 경쟁체제

1. 인물경쟁

2. 권력기관 경쟁

 

 

3. 중앙과 지방의 경쟁 : 자치분권

4. 주민과 대표의 경쟁 : 직접민주

사례- 스위스(주민자치가 잘 되고 있는 나라)

 

지방분권의 핵심은 3번과 4번에 있다.

 

중앙정부와 243개의 자치단체 : 기울어진 운동장

 

●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 자치라는 포용의 공간을 만들자

정부를 주민께 가깝게 하고

다양성을 사회에너지화하고

실험정신을 활성화 하자

 

포용의 공간에서 사회적 가치가 자라게 하자

 

● 사회적가치의 형성요인과 과정

- 정치과정

자유와 평등

사회정의

책임

 

● 지금 우리 사회는 어디에 있는가?

1. 지금 우리시회는 어떤 사회정의가 더 필요한가?

2. 그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어떤 정책이 더 필요한가?

3. 윤리적 자아(책임적 자아)로서 그 담론에 참여해야!

 

● 무엇이 변화하고 있는가?

* 지식과 기술의 변화

- 불확실성 의 해소자에서 불확실성의 제공자로

- 말하는 지식에서 듣는 지식으로

* 정부역할의 인식 변화

- 노젓기

- 조정하기

- 봉사하기

* 정의실현의 조건(사회적가치의 토양)

- 무지의 베일

 

●¡우리사회의 성장 과정

압축성장

군사문화, 관료 엘리트 문화, 북미 합리성

 

● 우리가 직면한 문제?

사회적 소외 :불균형

제도적 소외: 결정권

정치적 소외: 공천권

 

● 책임없는 사회로의 진입

책임운영

: 창조적 인갸

법적책임

: 더 높은 제도적 권위에 책임져야

의무

: 도덕적 기준을 행위자의 외적요인에서 찾음

 

 

 

● 새 정부의 자치분권 로드맵(안)의 주요내용

1.중앙권한의 지방이양

2.강력한 재정분권

3.자치단체 역량 제고

4.풀뿌리 주민자치 강회

5.지방협령형 지방행정체제 구축

6.지방분권형 개헌 지원

 

● 생각의 공유?

1.이미 사회는 알고 있다

- 지식의 변화

- 정부역할의 변화

- 지시보다는 들어 주는 것

2. 그런데 변화가 힘이 든다.

-

압축성장 경험의 관성(단일권력,일사불란,획일성 등)

- 특히 힘이 있는 부서가 더 함

- 잉태된 개인화, 파편화, 불균형의 심각성을 보지 않으려고 함.

3.그래도 변해야 한다.

- 정부를 주민께 가깝게 하고

- 다양성을 사회에너지화하고

- 실험정신을 활성화 하자

 

● 의회의 역할

: 사회정의 구현의 감시자와 조력자

- 정책현안 파악

- 예산 요구사항 파악

 

 

* 토론은 아마츄어 답게!

* 합의는 프로답게!

 

#정석자 #이용식 #곽종포 #김혜림 #박재우 #최선호 #이장호 #정숙남 #김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