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선거

강서동 - 양산시 주관 시민과의 간담회

정석자 2014. 2. 5. 15:51

 

 

⊙ 회현마을

- 바이오가스화 시설 주민지원금으로 주민숙원사업인 목욕탕 건립 등을 시행하기로 하였으나 마을단위로 배분이 논의 되는 문제 발생

- 경로당 신축의 건 : 경로당이 협소하여 70여분의 노인들 원성이 자자함.

 

⊙ 노인요양원 주변

- 어곡공단 방향으로의 가로등 설치.

▶가로등은 불가 보안등 설치 될수있도록 즉각 조치

 

⊙ 일동미라주

- 일동미라주 아파트 주변 인도 설치 건의 : 일일 유동 차량 약2,500여대

- 교동 530-1번지를 학교용지로 매입하고 계획은 없다하니 설립시까지 이 부지에 임시 체육시설설치 건의.

- 아파트 앞 도로가 주차장화 되어 버렸다. 도로과에서는 정식 도로가 아니어서 단속을 할수없다고 하니 그러면 인근 주차장을 확보하든지, 도로가 아니면 도로로 만들어서 단속해달라

▶ 현장확인 후 조치

 

⊙ 교동

- 바이오가스화 관련 주민대책위원회 각 통장들로 구성.

시장님을 인격적으로 믿었던 이유는 항상 희망적인 답변을 하였기 때문인데 지금으로선 대책위원이라는 것이 부끄럽다.

시장경제에 행정이 개입 못한다고 목욕탕 건립이 불가하다고 하는데 이 동네에 개인사업자가 목욕탕 지을려고 하겠느냐.

사업의 우선순위 3가지를 정하여 올리라고 공문이 와서 목욕탕 건립을 우선순위로 했는데 이제와서 마을별로 분배하겠다고 하면 집집마다 가르란 말이냐.

바이오 사업 때문에 받는 인센티브라면 개인이 아닌 마을의 숙원사업을 해야 마땅하다.

용도는 폐촉법에 맞게 쓰여져야 한다.

주민숙원사업을 하든지, 세대별 분배를 하든지 해야지 마을별 분배는 맞지않다.

이 자리에서 명확히 해달라.

▶ 답변은 변함없다. 행정 주도형 목욕탕은 안된다. 기반시설이나 행정적 지원을 통해서라도 개인사업자가 목욕탕을 설치할수있도록 하려 했는데 여의치 않았다.

폐촉법에 의한 지원은 의무사항이 아니라 주민편의를 위한것이다.

한꺼번에 20억을 확보할수없으니 3년을 계획해서 마을단위 엔분의일로 해서 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하자는 얘기다.

목욕탕은 그런 정도로 마무리를 짓도록 하자.

 

⊙ 자녀교육

양주초교 학생수가 점점 감소.

학교시설 지원해서 학생수 확보가 될수있도록.

 

⊙ 강서동

강서동은 강서동이 아니라 휴게동이다. 파출소도 문이 닫혀있다.

이곳 4개 마을은 걸어서 동사무소를 이용할수있지만 어곡 쪽은 대중교통조차 불편하다.

동사무소는 동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동장 자주 바꾸지 마라. 일할만하면 다른데 보내버린다.

등하교길에 스쿨존도 부실하다.

 

⊙ 삼성파크빌

- 도로 2차선인데 양쪽으로 불법주차가 되어있다.

세원버스가 회전을 해야하는데 불법주차로 인해 불편을 겪고있다.

- 주변에 유리공장이 있는데 과속 난폭 불법주차 차량으로 주민불편.

▶ 현장검토

 

⊙ 통장협의회

- 30만 인구가 되었을때 시민들이 받는 혜택은 무엇인지.

▶ 자족도시로서의 최소단위가 30만 인구로 본다.

중앙의 교부세가 현재 1,100억 규모에서 200억이 추가.

시청에 1국 신설 가능(현재 4국)

세수 300억 정도 증대 예상

- 유산일반산단 내 업종변경건에 대한 시의 입장은.

▶ 산 64번지 일원에 개발중. 민간개발방식. 공정률 85%

지난 10월에 변경신청. 주민반대의견 수렴해서 도에 제출상태.

▶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산단조성은 불가피한 사항.

개발과 환경을 효과적으로 해야하는데 업종때문에 석계도 주민과의 갈등 발생.

주민들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요즘은 생산시설 자체가 오염방지 시스템이 갖 추어져 있다. 주민들의 우려보다 행정에서 더 많은 신경을 쓴다.

기계에서 페인트 공장으로 업종변경 신청인데 도에서 결정사항이라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전하겠다. 왜곡되이 의견을 전하지 않는다.

무조건 거부하는 것은 맞지 않다. 충분히 주민 입장에서 알아보기 바란다.